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5년 액티브 시니어 트렌드 분석: 소비·디지털·라이프스타일 통계 기반 인사이트

생생정보

by 실버로그 2025. 7. 3. 17:42

본문

대한민국은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습니다.
2025년 현재 60~80대 시니어 세대는 단순히 “노년층”으로만 구분되지 않습니다. 이들은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로 불리며, 경제·디지털·여가 분야에서 강력한 소비층으로 부상했습니다.
오늘은 국내외 통계와 데이터를 근거로 최신 시니어 트렌드를 알아보고, 우리 삶과 사업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액티브 시니어란 무엇인가요?

미국 시카고대 버니스 뉴가튼 교수는 은퇴 이후에도 활발한 활동과 소비를 지속하는 50~60대 이상을 ‘액티브 시니어’라고 정의했습니다.
한국에서도 이 개념은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24년 기준 18.6%를 돌파했으며 2035년에는 26%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55세 이상 고령자 기준도 점차 상향 조정 논의가 확대 중입니다.
출처: 브런치 - 시니어 라이프



📱 디지털 전환: 시니어의 스마트폰 사용 폭발적 증가

6070대가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지 못한다는 편견은 이미 옛말입니다.
다음은 20242025년 대표적 통계입니다.

✅ 60대 이하 스마트폰 이용률: 100%
✅ 70세 이상 스마트폰 이용률: 90% 이상
✅ 주 5일 이상 스마트폰 사용 비율: 70세 이상 64.4%

스마트폰은 시니어에게도 “필수 매체”가 되었으며, 유튜브·카카오톡·인터넷 뉴스 소비가 크게 늘어났습니다.



💳 소비 패턴의 변화: 나를 위한 소비, 가족을 위한 지출

액티브 시니어의 소비는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1.개인 만족형 소비 (뷰티, 건강관리, 여행)
2.가족 지원형 소비 (자녀·손주 지원, 선물)

다음은 주요 트렌드입니다:
•온라인 소비: 60대의 온라인 구매가 142% 증가
•홈쇼핑·모바일 쇼핑 비율이 오프라인과 유사
•구매 결정 기준: 합리적 가격(81.6%), 교환·환불 용이성, 판매자 신뢰



🌿 라이프스타일과 여가: 시니어 전용 문화 공간과 커뮤니티
•시니어 전용 문화·여가 공간이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스마트홈, 건강관리 앱, 시니어 커뮤니티 등이 새로운 여가문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시니어 앱 사용 급증 사례
•e알리미: +7.9%
•페이북: +7%
•번개장터·알리익스프레스: 중고·해외 직구 참여 증가



🎯 초고령사회 준비와 시니어 정책 변화

한국 사회는 초고령화 속도가 OECD 평균보다 2배 빠릅니다.
•노인 기준 연령을 기존 65세에서 70세로 상향하는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경상북도는 70세 이상 시내·농어촌 버스 무료화를 시행 중입니다.
•경기도는 중장년 갭이어 캠프를 통해 인턴·교육 기회를 제공합니다.



🔍 마치며: 시니어 시장의 기회

액티브 시니어는 더 이상 ‘소극적 소비자’가 아닙니다.
디지털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자신을 위해 투자하며, 사회적 활동을 지속하는 주체적 세대입니다.
이들의 변화는 쇼핑, 건강, 여행, 주거, 문화 등 거의 모든 산업에 기회와 도전을 함께 주고 있습니다.



💬 당신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액티브 시니어로서 가장 공감하는 트렌드는 무엇인가요?
•주변에서 경험한 사례를 댓글로 남겨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유해주세요!

관련글 더보기